상식17 시사 상식_조모(JOMO) (Joy Of Missing Out) 이전 포스팅을 통해 포모(FOMO) 증후군에 대해 알아봤었습니다. 오늘은 이와 반대되는 개념인 조모(JOMO)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들어 현대사회에서는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FOMO(Fear of Missing Out)라고 하는 강박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JOMO(Joy of Missing Out)라는 개념도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조모(JOMO)란 Joy Of Missing Out의 줄임말로 일부러 놓치는 즐거움으로서, 본인이 필요하지 않은 것을 제거하면서 행복을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JOMO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우리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조모(JOMO)는 포모(FOMO)처럼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 2023. 4. 23. 시사 상식_챗GPT(ChatGPT)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함께 발전하는 자연어처리 기술 중 하나인 ChatGPT는 최근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ChatGPT가 진짜 인공지능 답게 사람과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 하며, 더 나은 정보 제공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ChatGPT는 OpenAI에서 개발한 자연어처리 기술로, 대화에 사용되는 자연어 데이터를 학습하여 새로운 문장을 생성하고, 대화를 이어나가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은 GPT(Generative Pre-training Transformer)라는 기술로,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어 왔습니다. ChatGPT-3는 현재 가장 큰 모델로, 1750억 개의 파라미터로 이루어져 있어 이전 모델에 비해 더 자연스.. 2023. 3. 30. 시사 상식_포모(FOMO) 증후군 (Fear Of Missing Out) 저는 sns를 하지 않습니다. 20대 초반에 페이스북을 끝으로 인스타그램으로 못 넘어갔는데 처음엔 취업을 준비하느라 그랬던 것 같고 나중엔 소통할거리가 없어서 sns를 안 했던 것 같습니다. 좋은 거 예쁜 거 멋진 거를 해야만 할 수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고 할까요 ㅎㅎ? 아마 저는 이덕분에 포모 증후군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포모 증후군(FOMO) fear of missing out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Fear of missing out"은 영어로 FOMO(Fear Of Missing Out)라고 하며, 현대 사회에서 새로운 경험, 정보, 혹은 즐거움을 놓치는 두려움과 불안감을 뜻하는 용어입니다. 특히, SNS 등을 통해 다양한 이벤트, 모임, 여행, 쇼핑 등.. 2023. 3. 28. 시사 상식_나비효과(Butterfly effect) 안녕하세요. 동순2의 오늘의 상식코너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나비효과(Butterfly effect)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는 처음에는 작은 변화가 시간이 지나면서 예상치 못한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나비의 날개짓이 지구반대편에 태풍을 불러 일으킨다는 말을 들어보셨죠? 날갯짓 한 번이라는 작은 변화가 물결치듯 전파되면서, 지역의 날씨, 공기의 움직임 등에 영향을 미치고 이후 다른 지역에도 영향이 미치며, 시간이 지나면서 전 세계적인 날씨까지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것입니다. 사실 좀 억지스러운 면이 없지 않아 있는 것 같은데 이렇게 한번 생각해 보자고요. 예를 들어 지금 현 상황에서 인간관계, 커리어 등 모든 것이 만족스러운데 딱 가진돈.. 2023. 3. 17.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