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시사상식

시사 상식_포모(FOMO) 증후군 (Fear Of Missing Out)

by 동순2 2023. 3. 28.
반응형

FOMO 증후군

 

저는 sns를 하지 않습니다. 20대 초반에 페이스북을 끝으로 인스타그램으로 못 넘어갔는데 처음엔 취업을 준비하느라 그랬던 것 같고 나중엔 소통할거리가 없어서 sns를 안 했던 것 같습니다. 좋은 거 예쁜 거 멋진 거를 해야만 할 수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고 할까요 ㅎㅎ? 아마 저는 이덕분에 포모 증후군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포모 증후군(FOMO) fear of missing out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Fear of missing out"은 영어로 FOMO(Fear Of Missing Out)라고 하며, 현대 사회에서 새로운 경험, 정보, 혹은 즐거움을 놓치는 두려움과 불안감을 뜻하는 용어입니다. 특히, SNS 등을 통해 다양한 이벤트, 모임, 여행, 쇼핑 등 다양한 활동을 접하는 것이 쉬워지면서, 자신이 놓칠까 봐 불안해하거나 누군가와 비교하며 갈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게 왜 문제가 될까요?

 

FOMO는 심리적인 증후군으로 분류되며, 불안, 우울, 인간관계 문제 등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FOMO는 사람들이 다양한 선택과 기회에 직면할 때 결정을 내리는 것이 어렵게 만들고, 계속해서 최신 정보를 추적하며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볼까요?

 

예를 들어, 친구들과 모임이 예정되어 있었는데, 자신은 다른 스케줄로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 FOMO를 느낄 수 있습니다. 

자신만 모르는 즐거운 일이 있을까 친구들이 게시하는 사진과 동영상을 계속해서 SNS에서 확인하거나, 가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와 불안감을 느끼며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또 다른 예로, 새로운 트렌드에 대한 정보를 놓치면 뒤처지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으로, 다양한 블로그, SNS,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며 시간과 에너지를 소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불안감과 스트레스는 결국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FOMO는 현대 사회에서 매우 보편적인 현상으로, 온라인 환경이 발전함에 따라 더욱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오늘날에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정보를 언제든지 어디서든지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에서는 새로운 소식과 트렌드가 빠르게 전파되며, 이를 놓치지 않기 위해 지속적으로 정보를 확인하고, 다양한 활동과 이벤트에 참여하려는 욕구가 강해졌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환경은 FOMO와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트렌드에 뒤쳐진다는 불안감은 개인적인 스트레스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나 경험을 다른 사람이 온라인에서 공유하면, 자신이 놓친 것에 대한 후회와 부족함을 느끼게 되고, 이는 사회적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또한, FOMO는 자신이 더 나은 선택을 해야 한다는 욕구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불필요한 경쟁과 비교, 소비문화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개인의 스트레스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FOMO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욕구와 가치를 인식하고, 다양한 정보와 선택을 평가하고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시간 관리 기술을 개발하여 중요한 것과 부차적인 것을 구분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통해 FOMO와 관련된 불안감을 줄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특히 어린 친구들이 이런 경험을 많이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상태를 정의하는 용어까지 있을 줄은 몰랐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건 나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고민을 한다는 것이죠.

현시대는 컴퓨터만 있으면 지구 반대편에서 무슨 일이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좋은 점도 분명 있지만 반대로 말하면

너무 많은 정보 속에 자칫 휩쓸릴 수 있음을 항상 명심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