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시사상식

시사 상식_락인효과(Lock-In effect)

동순2 2023. 3. 18. 11:05
반응형

락인효과 Lock-In effect

안녕하세요. 동순2의 오늘의 상식코너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락인효과(Lock-In effect)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요즘 애플병에 걸렸습니다. 애플병은 구매만이 유일한 치료법인 거 아시죠 다들?

그런데 망설여지는게 기존 그램 노트북이 오래돼서 바꾸는 김에 맥북으로 바꾸려고 하는건데 

한국에선 window가 어쩔 수 없이 필요하더라고요.

그럼 또 결국 필요에 따라 그램을 다시 쓸 거 같아서 망설여져요... 제가 이 말을 왜 하느냐 이것이 바로 lock-in효과와 관련이 있거든요.

그럼 바로 시작해 볼까요!?

 

락인효과란 고객이 일단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 그것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고객들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고, 다른 대안을 찾지 않는 경향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업은 이러한 락인효과를 이용하여 고객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방안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락인효과가 형성되는 걸까요?

그것은 바로 특정 플랫폼에서만 이용 가능한 서비스, 복잡한 데이터 이전 절차, 높은 이탈 비용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기업은 고객들을 자사의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계속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죠.

앞서 언급한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을 통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자구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Windows 운영 체제를 통해 Lock-in 효과를 형성한 것이 대표 사례입니다. Windows 운영 체제는 이미 많은 사용자들이 그것에 익숙해졌고,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호환성이 무척이나 뛰어납니다. 이러한 이유로 기업 및 소비자들은 다른 운영 체제를 사용하기 어렵게 되었고(바로 저 같은...?), Windows 운영 체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죠.

애플(Apple)의 아이폰(iPhone) 또한 Lock-in 효과를 형성한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입니다. 아이폰은 애플 생태계 내에서 다양한 앱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른 기기들과의 호환성이 낮아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다른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아이폰 유저들은 다른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워치, 맥북 등 ios 운영 체제를 갖춘 다른 제품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입니다.

 

자 이것이 소비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요?

일단, Lock-in 효과는 소비자들이 다른 제품이나 서비스를 채택하기 어렵게 만들어, 소비자의 선택권이 제한됩니다. 예를 들어, 특정 기술이나 제품이 시장의 표준이 되면서 다른 제품이나 기술과의 호환성이 낮아지게 되고 소비자들은 해당 기술이나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다른 제품이나 서비스를 포기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Lock-in 효과는 기존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높아지거나 품질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기존 업체들의 막강한 시장 지배력 때문에 경쟁 제품이나 서비스가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죠.
또한, Lock-in 효과는 소비자들이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을 사용하지 못하게 만들어 기술적 혁신과 발전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결국, Lock-in 효과를 최소화하고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을 빠르게 채택하는 것이야 말로 저희 같은 소비자들이 더 많은 선택권과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자 그래서

이게 바로 제가 lg그램에서 맥북을 바로 구매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입니다. 쀼의세계에 나왔던 대사가 생각나네요. 

"솨랑에 빠진 게 죄는 아니 좌나ㅏ나ㅏㅏㅏㅏ"  일명 '사빠죄아' ㅋㅋㅋㅋ 애플에 사랑에 빠진 것은 죄가 맞을지도...?

오늘의 상식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